react-native 4

React-native/Flat-List

FlatList는 map함수를 대신할 좋은 방법입니다. 많은 분들이 map을 사용하기보다는 FlatList컴포넌트를 활용합니다. ***map을 사용하게되면 ScrollView로 감싸줘야하지만 FlatList를 사용하면 ScrollView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.*** ***FlatList를 사용하면 자동적으로 렌더링 최적화가 됩니다. 데이터가 너무 많을 때에는 한꺼번에 불러오는 것이 아닌 성능에 문제없을 만큼의 데이터를 조금씩 가져옵니다. *** {item.name}} /> FlatList 컴포넌트는 data Prop으로 데이터를 받아오고 renderItem으로 출력 형식을 지정해줍니다. { ( { item } )=> {...} } 이 부분이 좀 복잡해보이는데 가장 밖에있는 { }는 jsx의 것이고, ..

React-native/Lists, Scroll View

useState에는 string, array, object... 전부 그 STATE가 될 수 있습니다.배열은 리스트죠. 화면에 요소들을 리스트로 나열해보는 것을 배워봅시다. 여기서 아셔야 할 것은 2가지 정도라고 생각이 됩니다.1. map함수2. 각 View요소에 키를 필수적으로 넣어줘야 한다는 것. map함수는 그 용도가 정말 다양합니다.people.map(item => { return ( {item.name} ); }) 여기서 item은 배열의 각 요소를 나타냅니다.알아서 끝까지 순회하니 for문이나 while문처럼 어떤 증가값이나, 종료시점을 알려주는 구문을 넣어주지 않아도 됩니다.너무 간단했습니다. map함수와 같이 그 인자로 함수(콜백)을 받는 함수들에 유의하셔야 합니다. 보통 대부분 그런 콜백..

React-native/text Input

컴포넌트 마다 그에 대한 이벤트들이 있습니다. 버튼은 onPress죠. textInput(사용자 입력)은 onChangeText 이벤트입니다. onChangeText 이벤트에 익명함수를 등록해 주었는데요. 저기있는 val 인자는 어디서 왔을까요? onChangeText이벤트가 자동적으로 넘겨준 인자입니다. 인풋의 내용이 저 인자에 들어있습니다. onChangeText 이벤트의 약속된 동작 방식입니다. (꼭 저기 있는 인자의 이름이 val이 되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. 인자의 이름은 마음대로 정하시는 겁니다.) 적는대로 변경사항이 state에 잘 적용되네요. TextInput에 Props로 multiline이나 keyboardType='numeric'을 적용해보세요. 여러줄 입력이나, 숫자패드만 나오는 입력..

함수형 React-native/using State

이 코드로 시작하겠습니다. react-native cli와 초기 환경설정 세팅을 하시고 react-native init MyApp하면 코딩환경이 세팅 됩니다. (자세한 것은 구글링...) 음... useState의 기본 사용법은 이겁니다. 예를들어 이름을 저장할 state를 마련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. const [name,setName] = useState(''); const [사용할 변수명] = [] 이런 형태의 문법은 해체할당이라 합니다. 객체와 배열은 해체할당이 가능합니다. 그리고 React에서 자주 사용하니 꼭 익혀두셔야할 문법입니다. name = 정보가 저장되는 변수입니다. setName = 함수인데, name만을 조작하는 함수입니다. 이 함수를 통해서만 name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. use..